패스트캠퍼스업스테이지부트캠프 썸네일형 리스트형 학습일지 | MLOps에 대한 대략적인 소개 올 것이 왔다. 최대 난관이 찾아온 것 같다. 이름도 생소한 ML Ops가 뭔지, 강의 들으면 알겠지 했는데 들으면 들을수록 더 모르겠다.두둥 ML Ops (수업 내용에 새로운 개념이나 처음 들어보는 단어가 너무 많아서 힘들었다. 동시에 그만큼 많이 배우기도..)ML Ops는 머신러닝 모델을 개발하고 배포, 운영하는 전체적인 과정을 관리하는 영역이다. DS(데이터 사이언티스트를 부르는 것 같음. 보통 DS가 주피터 노트북으로 모델을 개발한다고. 하지만 이걸 곧바로 배포할 수는 없음)가 모델을 만들어서 올리면 그걸 가지고 운영을 시작하는 게 ML Ops의 영역이고, 이 분야는 새로 생긴지도 얼마 되지 않아 통일된 방법론(?)이나 툴이 존재하지 않는다. 백엔드와도 맞닿아 있는 부분. (난 백엔드에 대해 아무.. 더보기 경진대회 Fast-Up Report 오늘은 경진대회를 마무리하고 각 팀마다 어떻게 모델을 만들었는지 발표하고 각자 배운 점과 어려웠던 점을 공유하는 세미나를 가졌다. 다른 팀의 발표를 보면서 엄청나게 동기부여를 받았는데, 그 기세를 몰아 이 밤에 Fast-up report를 작성하고 있다. 1. 어떤 대회였나?인공지능 AI 부트캠프 4기 학생들이 모여서 아파트 가격 실거래가를 예측하는 대회. 2024. 09. 09~09. 13까지 일주일 동안 진행. 2. 목표는 무엇인가? 나는 2조였는데, 우리 조의 경우에는 최대한 많은 외부 데이터를 수집했고, 그 외부데이터를 활용해 기존에 주어진 결측치 많은 데이터를 대체하고 실거래가를 예측하려는 것이였다. 수치적으로는 RMSE 값을 최대한 낮추는 것이 목표였다. (실제 가격과 예측한 가격의 오차를 줄.. 더보기 학습일지| AI를 위한 기초 수학 후기 | 딜런 강사님 이번 주에는 AI를 위한 기초 수학 강의가 3일 연속해서 있었다. 월요일에는 프로젝트 결과 발표하고 다른 팀 발표를 듣고 끝났고, 화요일에는 혼자서 갑자기 쉘든 챗봇을 만들어보는 것에 빠져있었는다. 수요일에 처음 수학과 너무 너무 오랜만에 만났는데, 강사님부터 뭔가 남달랐다. 강의 중에 말씀을 하실 때에도 정확한 명칭의 단어와 정의를 생각하시는 듯 했다. (이게 수학과인가..?)시간표에 분명 '기초 수학'이라고 적혀있어서 가벼운 마음(?)으로 임했는데 부트캠프 시작하고 나서 역대급으로 가장 힘든 수업이였다. 강사님은 정말 좋았다. 일단 수학이 어렵다는 걸 인정하고, 있는 그대로를 설명해주려고 하시는 게 좋았다. 예전에 유튜브 영상같은거 대본 쓰거나 할때, (나도 잘 이해가 안가는) 과학적 개념을 최대한 .. 더보기 7/24 학습일지 | aws 인스턴스 우분투 환경에서 리눅스 명령어 익히기 월요일 화요일에 고난의 사고력 연습을 하다가 수요일에는 머리를 조금 덜(?) 쓰는 수업을 하니 좋았다. ㅎㅎ 오늘은 컴퓨터공학의 개론을 간단하게 훑고, 리눅스 환경을 구현해서 명령어를 연습해보고, aws로 컴퓨터를 대여(?)해서 부여받은 ip주소로 가면 내가 만들어놓은 화면을 띄울 수 있도록 하는 것까지 해봤다. aws부터는 완전 처음 보는 거라서 신기하고 재밌었는데, 다음에 혼자도 할 수 있게 정리!!! 참고로 지금 나는 맥북(인텔)을 쓰고 있어서 맥 기준으로 설명을 정리한다. 1. AWS EC2 설치(가상 서버 서비스)서버를 인스턴스라고 부르는 것 같은데, 인스턴스 시작을 눌러서 우분투로 설정하고 키 페어를 생성한다. 인스턴스의 보안 그룹에서 SSH(포트 22)에 대한 인바운드 규칙을 설정한다.(인스.. 더보기 7/18 학습일지 | SQL 구조화 질의 언어 간만에 새로운 것들을 밀어넣느라 머리 터지는 중... 어제에 이어서 두 번째로 보고 있는 mySQL workbench. 두 번째로 보니까 조금 낫다. 오늘 배운 거 정리하기(내가 이해한 내용을 정리하는 것이라서 잘못 이해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음!) mySQL로 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 방법에는 크게 2가지가 있는데, 리버스 엔지니어링으로 아래처럼 그림을 그려넣는 방법과, 처음부터 SQL 언어를 사용해서 만드는 방법이 있다.물리적 모델링으로 실제 DB를 만들 때에는 테이블정의서를 보면서 작업해야 한다. 테이블 정의서가 기본! 테이블을 만드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create tabe ~~~ 이고 괄호 열고 속성들을 써주면 된다. 주석을 달 때에는 -- 를 쓴다. create database ai;-- DDL(데.. 더보기 7/16 학습일지 | 개강 첫날 | Upstage AI Lab 4기 과정 OT, 인공지능 기술 특강 오전 10시부터 오후 1시까지 3시간 동안에는 과정OT가 있었고, 간단히 점심을 먹은 뒤 기술 특강이 이어서 진행됐다. 비전공자로서 두렵기도 하고 설레기도 하는 두근두근 첫날ㅋㅋㅋㅋ 이런 기분 넘 오랜만이다. 오전 시간에는 시간표랑 무엇을 배우게 될지에 대해서 안내해주셨다. 운영진 분들이 다들 친절하고 열정적이셔서 앞으로 엄청 도움이 될 것 같다. 함께 의욕 뿜뿜ing AI 엔지니어는 AI 기술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이라고 한다. 실제 내가 엔지니어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확실한 건 "해결하고 싶은 문제"가 있다는 것. 정확히 "문제 정의"를 하고 그걸 진짜 해결해보는 경험을 해보고 싶다. 그래서 개강 첫날이기도 하고, 내가 뭘 해결하고 싶은지를 지금 가볍게 정리해보려고 한다. 1. 가벼운 편집규칙..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