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롬프트쓰는법 썸네일형 리스트형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4편 | 스텝백 프롬프트 딱 한 줄 바꿨을 뿐인데, 답변의 퀄리티가 이렇게 차이난다고? 맞습니다. 똑같은 돈을 내고 AI 모델을 사용하더라도, 어떻게 질문을 하느냐에 따라 얻을 수 있는 결과는 천차만별입니다. 어떻게 하면 AI의 성능을 최대로 끌어내어 정확하고 의미있는 답변을 출력하게 할 수 있을까요? 구글에서 발간한 화제의 백서, “Lee Boonstra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백서”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원문은 모두 영어로 되어 있는데요. 이번 백서의 내용을 꼼꼼히 공부하고, 직접 실험해보면서 중요한 개념들을 해설하는 시리즈를 기획했습니다. 총 8편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며, 구글 백서 원문은 이곳(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백서 파헤치기 시리즈]1편 - LLM의 작동 방식과 config 조정.. 더보기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3편 | 시스템, 컨텍스트, 역할 프롬프트 딱 한 줄 바꿨을 뿐인데, 답변의 퀄리티가 이렇게 차이난다고? 맞습니다. 똑같은 돈을 내고 AI 모델을 사용하더라도, 어떻게 질문을 하느냐에 따라 얻을 수 있는 결과는 천차만별입니다. 어떻게 하면 AI의 성능을 최대로 끌어내어 정확하고 의미있는 답변을 출력하게 할 수 있을까요? 구글에서 발간한 화제의 백서, “Lee Boonstra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백서”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원문은 모두 영어로 되어 있는데요. 이번 백서의 내용을 꼼꼼히 공부하고, 직접 실험해보면서 중요한 개념들을 해설하는 시리즈를 기획했습니다. 총 8편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며, 구글 백서 원문은 이곳(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백서 파헤치기 시리즈]1편 - LLM의 작동 방식과 config 조정.. 더보기 AI에게 일 더 잘 시키는 법(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기초) ChatGPT나, 클로드, 그록과 같은 LLM을 쓸 때 어떻게 질문을 하고 계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을 받고 계신가요? 오늘은 AI와 더 잘 소통하는 비법인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란 AI에게 질문하거나 요청할 때 더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한 방법을 말해요. 사람과 대화할 때처럼, AI에게도 명확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주면 훨씬 더 도움되는 답변을 받을 수 있답니다.가장 중요한 두 가지 요소는 '맥락(context)'과 '기대치(expectation)'예요. 첫 번째, '맥락'은 배경 정보를 말해요. AI에게 단순하게 ‘생물학 시험 공부를 도와줘’라고 말하는 것 보다, "내일 인체 순환계에 관한 생물학 시험이 있어"라고 맥락을 같이 주는 것이 좋아요. 맥락의 양을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