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이 만드는 AI 뉴스레터
2025년 1월 14일 화요일
안녕하세요 에디에요!
AI가 요약한 오늘의 뉴스를 가지고 돌아왔어요.
오늘은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요? 핫한 AI 소식들, 여기서 확인해보세요!
📱 네이버, 북미 AI 광고 스타트업 '램브랜드' 투자로 글로벌 영토 확장 나서
네이버가 북미 시장을 향한 투자를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네이버의 스타트업 투자 조직 D2SF는 최근 3D 공간인식 AI 기반의 광고 솔루션을 개발한 북미 스타트업 '램브랜드'에 투자를 단행했는데요. 2022년에 설립된 램브랜드는 자율주행과 로보틱스 분야의 3D 공간인식 AI 기술을 동영상 콘텐츠에 접목시켜, 사용자 경험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자연스럽게 광고를 노출하는 '인 씬 미디어'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레노보, 아마존, 펩시, 로레알과 같은 글로벌 대기업들이 이 기술을 활용하고 있죠.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글로벌 AI 시장에서의 경쟁 구도인데요. 오픈AI가 지난해 10월에 9조 6천억원 규모의 투자금을 유치했고, 구글은 작년 한 해 동안 기술 인프라에만 72조 5천억원을 투자했습니다. MS는 올해 데이터센터 투자에 116조원을, 메타는 지난해 AI 인프라에 55~58조원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러한 글로벌 기업들의 공세에 국내 시장도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네이버의 국내 검색시장 점유율은 2015년 78.06%에서 현재 57.32%로 감소한 반면, 구글은 같은 기간 7.31%에서 33.9%로 큰 폭으로 성장했습니다. 이에 네이버는 'AI 브리핑'이라는 생성형 AI 검색 서비스를 준비 중이며, 카카오 역시 AI 비서 서비스 '카나나'를 통해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 AI 패권 경쟁 가속화... 정부·기업 AI 투자 대폭 확대
한편, 우리나라가 글로벌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1조원 규모의 범용 AI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는데요. 여기에 민간 기업들의 투자도 더해지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R&D 투자에 2조원 이상을 투입했고, 매출의 20~25%를 꾸준히 R&D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정부도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2026년부터 1조원 규모의 범용 AI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며, 8,100억원 규모의 정책펀드도 조성한다고 합니다. 2027년까지 정부 R&D 중 선도형 R&D 투자 비율을 35%까지 확대하고, AI 차세대 원천기술 투자 비중도 2배로 늘릴 계획입니다.
다음 소식에서 또 만나요!
참고한 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082062?sid=1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9/0002929427?sid=105
'소식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안테나] AI 지능이 올라간 비결은? 생각의 사슬! (0) | 2025.01.16 |
---|---|
[AI안테나] Hey ChatGPT, 내일 아침 7시에 깨워줘! (1) | 2025.01.15 |
[AI안테나] "GPU 쉽게 빌려쓰세요" (0) | 2025.01.13 |
[AI안테나] AI 교과서, 올해는 '먼저 써보고 결정하세요' (0) | 2025.01.11 |
[AI안테나] 중국의 AI 역전극, 생성형 AI 특허 70% 장악... 미국은 긴장 (0) | 2025.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