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7 썸네일형 리스트형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1편 | LLM의 작동 방식과 config 조정하기 딱 한 줄 바꿨을 뿐인데, 답변의 퀄리티가 이렇게 차이난다고? 맞습니다. 똑같은 돈을 내고 AI 모델을 사용하더라도, 어떻게 질문을 하느냐에 따라 얻을 수 있는 결과는 천차만별입니다. 어떻게 하면 AI의 성능을 최대로 끌어내어 정확하고 의미있는 답변을 출력하게 할 수 있을까요? 구글에서 발간한 화제의 백서, “Lee Boonstra의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백서”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원문은 모두 영어로 되어 있는데요. 이번 백서의 내용을 꼼꼼히 공부하고, 직접 실험해보면서 중요한 개념들을 해설하는 시리즈를 기획했습니다. 총 8편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며, 구글 백서 원문은 이곳(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백서 파헤치기 시리즈]1편 - LLM의 작동 방식과 config 조정.. 더보기 AI 생성 글 vs 사람이 쓴 글, 정확히 구별할 수 있을까? 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떠나서 이것을 구분하는 것이 왜 중요한 문제인가 먼저 생각해보자. 요즘 각종 보고서나 기사, 자기소개서에 AI를 활용하는 사례들이 늘고 있다. 어떤 사람이 AI를 이용해서 10분만에 글을 쓰고, 다른 사람은 하루종일 시간을 들여 글을 썼다고 했을 때 AI를 사용한 사람에게 보상이 돌아간다면 억울할 것 같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ChatGPT가 쓴 글인지 아닌지를 판독하는 AI 서비스도 있다. 심지어 더 억울한 상황은 손수 글을 작성해서 냈는데 그 글이 AI가 생성한 글이라고 판별되는 경우이다. 여러모로 사회적으로 억울한 사람들이 나올 수 있는 상황이므로, AI가 쓴 글을 제대로 판별해낼 수 있는가는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참고로, 지금 쓰고 있는 이 글은 사람 필자의 뇌에.. 더보기 이전 1 다음